직급 : 교수, 인도언어문명전공주임
연구실 :5동 422호
전화 : 02-880-8620
이메일 : hawonku@snu.ac.kr
Education
Ph.D. University of Minnesota
Statement
[2025년 9월부터 2026년 8월까지 연구년으로 예일대학교 남아시아협의체(South Asian Studies Council, MacMillan Center, Yale University)에 파견갈 예정입니다. 대학원이나 인도전공 관련한 문의는 쟝토마 마르텔리 교수님(jtmartelli@snu.ac.kr)께, 기타 문의는 학부사무실(alc@snu.ac.kr)로 부탁드립니다.]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하고 University of Minnesota에서 인도 근현대 미술사와 이슬람 미술사를 공부하였다. 19세기 자이나교 성지의 역사서술과 건축, 회화를 통해 나타나는 근대적 종교 정체성에 대한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1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어과 교수로 있었으며, 2015년 아시아언어문명학부 교수로 임용되었다. 인도 근현대사에 나타나는 예술과 문화, 교육제도 등을 통하여 식민 통치의 역사를 지닌 이들이 근대성과 종교, 민족주의를 자기화하는 과정을 이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Publications
■논저:
「경계에서 눈을 맞추다: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 인도 여성의 초상」, 『한국근현대미술사학』 제49집 2호(2025): 375-398.
김찬완, 김한상, 이동원, 구하원 공저, 「인도의 대전환과 인도학의 한국적 재해석」, 『남아시아연구』 30권 2호(2024): 209-236.
“Building New Narratives: Princess Heo and Korea-India Relations of the 21st Century”, in Great Transition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India: The Journey of 50 Years (도서출판 씨아이알), pp. 283-302.
「성지를 그리다: 천그림에 나타나는 19세기 자이나교의 변화」,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편, 『디지털 시대, 인문학의 미래를 말하다』(사회평론): pp. 487-498.
『근현대 인도의 여성』, 제럴딘 포브스 저, 구하원 역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인도를 상상하다: 여신, 지도, 이름」, 김병준・고일홍 편,『아시아를 상상하다: 닫힘과 열림』(서울: 진인진, 2023): pp. 267-285.
「제국의 정당화, 여성의 타자화: 인도 통치와 여성에 대한 제임스 밀과 존 스튜어트 밀의 글을 중심으로」, 『인도철학』65권(2022): 22-256.
「식민 통치하 자이나교도 여성의 사원 건축 후원-인도 서부 구자라트를 중심으로」, 『인문논총』78권 2호(2021): 15-48.
“The British Courts and Rise of a Modern Jain Identity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In The Jaina Community, British Rule and Occidental Scholarship from 18th to Early 20th Century, eds. Andrea Luithle-Hardenburg, John Cort, Leslie C. Orr (Berlin: E.B. Verlag, 2020): 420-440.
“Her trip abroad: Middle-class travels and feminism in women-centric popular Hindi movies.” Journal of South Asian Popular Culture Vol.18 No.3 (2020): 217-226. https://doi.org/10.1080/14746689.2020.1815449
「지배자 모방하기: 18세기 인도의 영국인 남성후원자 초상」, 『한국근현대미술사학』제39집: 355-382.
3인 공저, 『인도인의 역사인식과 신남방정책』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20)
공저,「18세기 캘커타: 여성의 거실, 지배자의 공간」,『18세기의 방』(문학동네, 2020)
“Transferring a Tīrtha: From Śatruñjaya to the Replicas at Kadambagiri”, Jaina Studies: Newsletter of the Centre of Jaina Studies Issue 14 (2019)
「새로운 사료와 시각을 도입한 심층 연구의 확산: 2014~2017 인도사 연구동향」, 『歷史學報』(2018)
「인도의 역사교과서 논쟁과 시기별 역사교과서에 나타나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대한 서술」, 『인도연구』 23권 1호 (2018)
「근대성의 건축: 식민 치하 인도 칼리지와 대학교 건축의 고찰」, 『인도연구』 21권 1호 (2016)
「식민치하 인도 ‘종교’대학의 의의와 한계: 알리가르 무슬림 대학교와 바나라스 힌두 대학교를 중심으로」, 『인문논총』 73권 1호 (2016)
강희정, 조인수 공저. 『클릭 아시아 미술』 (예경, 2015).
「아가한 건축상과 남아시아 현대 이슬람 건축의 이해」, 『한국이슬람학회논총』 제25권 1호 (2015)
“Colonial, Modern, or Traditional? How to Read the Indo-Saracenic Architecture of South and South-East Asia”, In The Mekong-Ganga Axis, eds. Pankaj Mittal, Ravi Bhushan, Daisy Nehra (Kurukshetra: Bhagat Phool Mahila Vishwavidyalaya, 2015)
“Representations of Ownership: The Nineteenth-Century Painted Maps of Shatrunjaya, Gujarat.” South Asia: Journal of South Asian Studies vol. 37 no.1 (2014): 3-21.
「윌리엄 존스(William Jones)와『마누법전(Mānava Dharmaśāstra)』의 번역」,『인도연구』 제18권 2호 (2013): 1-34)
스튜어트 고든 저, 구하원 역, 『아시아가 세계였을 때』(까치 2010)
■ 학술활동:
“눈을 맞추다: 19세기초반 회사양식 회화에 나타난 인도 여성” 발표.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봄 정기학술대회 (2025).
“Great Transition in Indian History” 패널 좌장. Great Transition in India: Retrospect and Prospect,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International Conference, Seoul(2024).
“Her Point of View: Marianne North and her Architectural Paintings in India” 발표. In Panel Building a Legacy: Catherine Asher’s Boundary-Crossing Scholarship Remembered. 112th CAA Annual Conference, Chicago(2024).
“Building New Memories: Princess Heo and Indo-Korean Relations of the 21st century” 발표. At the Great Transition in India-Korea Relations: Celebrating the 50th Anniversary of the Friendship, HUFS HK+ Conference at Jawaharlal Nehru University(2023).
“More than Grit: Self-Improvement and Success-Making in Western India” 패널 좌장. AAS Conference in Asia, 경북대학교(2023).
“Resistance and Contestation: Architectural Patronage of 19th-century Female Patrons in Ahmedabad”, for Beyond Boundaries: A Celebration of the World of John E. Cort,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2022).
Humanities in Korea: Tasks and Prospects 패널 좌장, Nova Humanitias Coreana International Conference “Humanities from Korean Perspectives”,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제학술회의(2022).
“역사와 종속: 제임스 밀과 존 스튜어트 밀의 인도와 여성” 발표, 한국인도학회 제51차 정기학술대회(2021).
“Gender and the Data Science Workforce” 패널 좌장, in Gendered Innovation for a Better World 서울대학교여성연구소 국제학술대회(2021).
HK+ 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발족기념 심포지움, 아시아연구소, 서울대학교, 서울. “아시아비교지역연구” 패널 좌장(2020).
“Her Lady’s Room: Portrait of a Lady within Patriarchal/Colonial Space” 발표. American Council for Southern Asian Art Symposium XIX, Edinburgh 발표(2019).
“Travels to a Foreign Land: Women Abroad in English Vinglish (2012) and Queen (2014)” 발표. Asian Universities Alliance Academic Conference: Communication of Mass Culture between China and Other Asian Countries in the 21st Century, Beijing University (2019).
“Female Patronage of the Modern Jain Temple: Hutheesing Temple and Ujambai Tunk” 발표. Indian Temple Architecture and Modernity,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London(2018).
“Jones’ Translation of the Mānava Dharmaśāstra and the Modern Concept of Peace” 발표. 3rd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eace and Reconciliation: Perspectives from Religion and Philosophy, Chennai(2018).
“The Female Patron: Gender and Architectural Style in 19th-century Jain Temples” 발표. Department of Religious Studies and the Lex Hixon Fund Special Lecture at Yale University (2018).
“Transferring a Tirtha: From Śatruñjaya to Kadambgīrī” 발표. Centre for Jaina Studies SOAS (2018).
“World Heritage as Educational Material: Ajanta, Ellora, and the Taj Mahal in NCERT Textbooks” 발표. American Council for Southern Asian Arts Symposium XVIII, Los Angeles (2017).
■연구과제: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 연구과제, “식민통치하 인도의 여성과 예술: 인종, 종교, 젠더를 통한 자기 표상” 책임교수(2024-2027).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기획과제, “아시아언어문명학부 발전방안 2.0 수립” 공동연구원; 책임 인문대학 이은정 교수(2023).
서울대학교 기초학문저술지원, “근현대 인도의 여성” 책임 92021)
서울대학교 미래기초연구사업, “19세기 초 동인도회사의 ‘인도’와 ‘여성’: 존 스튜어트 밀과 제임스 밀을 중심으로” 책임(2021)
한국연구재단 연구과제, “메가아시아와 아시아들: 정체성, 역동성, 데이터텔링” 공동연구원; 책임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박수진 교수(2021-2023)
(재)한국산업조사연구원 용역 수행,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라이브러리파크 신규아카이브 전시 콘텐츠 개발” 인도 부문; 책임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강희정 교수(2020)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연구과제, “인도인의 역사인식과 신남방정책” 책임(2019).
한국연구재단 HK+ 연구과제, “인도의 대전환과 인도학의 한국적 재해석- 인도 지역연구의 세계적 거점 구축” 공동연구원; 책임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김찬완 교수(2017~2025).
서울대학교 교내지원사업, “대학 내 여성 교원의 리더십 역량 강화 방안 연구” 공동연구원 (2017)
서울대학교 교내연구과제(신임교수연구정착 지원), “신화에서 시네마로: 인도영화의 이해” 책임(2015)
Courses
아시아근대문명연구(대학원)
이슬람 세계 예술의 이해
인도사 1
아시아연구지도
아시아문명교류사
아시아문명연구의 시각
인도의 신화와 예술
인도문명의 이해
인도 근현대 문화와 예술
근세 인도의 문화와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