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TOP

 

교수진

여운경 부교수, 동남아시아언어문명전공주임

Yeo, Woonkyung

전공동남아시아
주소연구실 :5동 418호
연락처02-880-8619
이메일wkyeo@snu.ac.kr

직급 : 부교수
연구실 :5동 418호
전화 : 02-880-8619
이메일 : wkyeo@snu.ac.kr

Education

Ph.D. University of Washington

Statement

여운경 교수는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동남아시아학 석사를 받았으며, 2012년 워싱턴대학 (University of Washington)에서 역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서강대 동아연구소에 근무했고, 2015년부터 서울대 아시아언어문명학부에 재직하고 있다. 20세기 중반 탈식민지화 이후 동남아시아/인도네시아에서 국가의 형성과 이에 따른 공간, 권력의 재구성, 초국가적 유동성(transnational mobility)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활동을 해오고 있다. 현재 1950년대 인도네시아 국경, 특히 수마트라-싱가포르 사이의 밀무역과 물물교환(bartering)에 대한 논문들을 집필 중이고, 다른 한편 1960년대 수카르노 권력의 변화, 해체와 문화/스포츠 정책에 대한 연구를 준비하고 있다.

Publications

■논저:
1. 「베스털링(Westerling)을 찾아서: 1950년대 인도네시아의 탈식민지화와 네덜란드인 문제」, 『인문논총』(2018)
2. 「1950-60년대 인도네시아의 정치 변화와 수카르노의 “혁명”」,『동양사학연구』(2017)
3. “Illegalising Licitness? Bartering along the Indonesian Borders in the Mid-20th Century”, Asian Journal of Social Science (2016)
4. 「경계 넘기와 새로운 시각의 모색: 2012~2-15년 동남아시아사 연구동향」, 『역사학보』(2016)
5.「1950-60년대 인도네시아의 정치적 혼란과 셀레베스 해(Celebes Sea) 밀무역」, 『문화역사지리』 26-1(2014): 108-120
6.「1950년대 인도네시아 지역반란과 화인사회: 국민당계의 몰락을 중심으로」, 『아태연 구』 21-1(2014): 45-69
7.「근대로 향하는 길? 무시 대교(Musi Bridge)를 통해서 본 도로건설과 지역개발의 상관 관계」, 『동남아시아연구』 24-1(2014): 191-221
8.『작가의 망명: 인도네시아의 대문호 프라무댜 아난타 투르와의 대화』서울: 후마니타 스, 2011(역서)

■학술활동:
1. “Years of Living Competitively: “Revolution” and the Politics of Sports in Indonesia in the 1960s”, 22nd Biennial Conference of Asian Studies Association of Australia, Sydney 발표(2018)
2. “Birds of a Feather Peck Each Other: The Division of Ethnic Chinese in Indonesia in the Mid-Twentieth Century”.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Annual Conference 발표(2015)

■연구과제:
1. 경쟁의 나날들: 1960년대 스포츠와 인도네시아 민족주의, 서울대학교 교내연구과제(신임교수연구정착금지원)(2015)

Courses

아시아문명론입문
동남아시아 문학 개론
동남아시아의 종교와 문명
동남아시아문명의 이해
동남아시아 문학 특강
동남아시아의 전통 공연예술과 대중문화
동남아시아 디아스포라의 과거와 현재-지역과 세계
동남아시아의 환경과 문화
아시아연구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