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급 : 부교수
연구실 :7동 419호
전화 : 02-880-6298
이메일 : suhjiwon@snu.ac.kr
Education
Ph.D. The Ohio State University
Statement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학부와 대학원에서 공부하고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정치학과에서 민주화 이후 인도네시아의 과거청산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2012). 서강대 동아연구소와 창원대 국제관계학과에 재직했으며 2021년 서울대에 부임했다.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동남아시아와 관련해 과거청산과 기억의 정치, 난민, 인권외교 등의 주제를 연구해 왔으며, 탈식민화와 인도네시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Publications
(1) 논저(최근 3년)
Suh Jiwon. “Beyond the Enclave? Human Right Promotion Strategies in Post-Reformasi.” In Making Democracy Work: Indonesia’s Transformations and Challenges, edited by Masaaki Okamoto and Jafar Suryomenggolo (Kyoto University Press and UGM Press, 2021 forthcoming).
서지원. “‘대국’ 인도네시아의 중견국 외교: ‘독립적, 적극적’ 외교의 추구.” 『동아연구』 제40권 1호(2021).
서지원. “북한인권 인도네시아 캠페인: 초국적 옹호네트워크와 선택적 인권외교 사이에서.” 『문화와 정치』 제7권 4호(2020).
서지원. “국가폭력인가 집단 간 폭력인가?―인도네시아 1965~66년 학살에 대한 해석들.” 『역사비평』 제131집(2020).
Jiown Suh. “Plural Justice: Indonesian Norm Entrepreneurs and Models of Justice.” South East Asia Research 27:2 (2019).
서지원·김형준. “인도네시아 2018: 수하르토 퇴진 후 20년, 일상화된 선거민주주의와 경제발전.” 『동남아시아연구』 제29권 2호(2019), 55-87.
서지원. “인도네시아 이행기정의와 수하르토 민족영웅 논쟁: 법정주의를 넘어.” 『아시아연구』 제21집 4호(2018).
서지원. “아세안 국가의 인도차이나 난민 정책에 대한 연구(1975-1996).” 『국제정치연구』 제21집 1호(2018).
서지원. 『베네딕트 앤더슨』. 컴북스, 2018.
베네딕트 앤더슨, 서지원 역. 『상상된 공동체: 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에 대한 고찰』 제3판(New Edition). 길, 2018.
(2) 학술활동(아직 논저로 미발표된 학술회의 발표, 최근 3년)
“한류현상과 한국문화 네트워크: 인도네시아의 시각.” 나자르바예프대학교 한국학 온라인 학술회의(2021.5.20-27).
“Politics of Memory, Partisanship and Transitional Justice: The Cases of South Korea and Taiwan.” 2020 Annual Conference, Taiwanese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서파푸아 민족주의와 태평양 지역주의.” The World Congress for Korean Politics and Society 2019.
“Lee Kuan Yew’s Legacies: How South Koreans View and Appreciate the Singaporean Leadership.” Workshop co-hosted by Institute for Southeast Asian Stud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and S. Rajaratnam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Closer Cooperation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Singapore in an Era of Uncertainty. October 19, 2018.
“필리핀 과거청산과 부패-인권 이슈의 연계.” 2018 한국동남아학회 연례학술대회.
(3) 연구과제(최근 3년)
공동연구원. HK+ 지구적 기억의 연대와 소통: 식민주의·전쟁·제노사이드. 서강대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 2020~
공동연구(최진우 외 6인). 아세안 지역 한류콘텐츠 활성화 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Transitional Justice in South Korea. Asia Justice and Rights. 2019.
인권 회복과 부패의 청산: 과거청산 이슈의 연계와 인도네시아.필리핀.한국 비교. 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자지원사업. 2018.
Courses
동남아시아 디아스포라의 과거와 현재-지역과 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