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급 : 교수
연구실 :5동 429호
전화 : 02-880-6041
이메일 : ycseo@snu.ac.kr
Education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 박사
Statement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계간 문학동네 편집위원으로 활동하였고 한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를 거쳐 2013년 서울대 아시아언어문명학부에 부임하였다. 문학의 존재론적 지위를 생각하기 위한 인문학 이론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한국과 일본과 중국 사이에서 엮어지는 동아시아 근대성의 맥락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Publications
■논저:
1. 「김윤식과 글쓰기의 윤리: “실패한 헤겔주의자”의 몸」, 『구보학보』(2019)
2. 『풍경이 온다 : 공간 장소 운명애』 (나무나무출판사, 2019)
3. 공저, ““The Birth of an Ethical Subject: The 1980s and South Korean Literature”, in Beyond Death: The Politics of Suicide & Martyrdom in Korea (Center for Korean Studies, 2019)
4.「강박과 히스테리 사이, 메이지 유신과 동아시아의 근대성: 시마자키 도손, 루쉰, 염상섭」, 『일본비평』(2018)
5. 「과잉윤리와 몰윤리 사이의 문학: 이청준의 ‘참기름 사건’과 『당신들의 천국』」, 『한국근대문학연구』(2017)
6. 죄의식과 부끄러움 : 현대소설 백년, 한국인의 마음을 본다 (나무나무출판사, 2017)
7. 「계몽의 불안: 루쉰과 이광수의 경우」,『한국현대문학연구』(2017)
8. 「동아시아라는 장소와 문학의 근대성」,『비교문학』(2017)
9. 「신경숙의 외딴방과 1990년대의 마음」,『문학동네』(2017)
10. 「가해자의 자리를 향한 열망과 죄책감 – 「병신과 머저리」가 한국전쟁을 재현하는 방식」,『한국현대문학연구』(2016) 외 논저와 평론
11.『인문학 개념정원』, 문학동네, 2013.
12.『미메시스의 힘』, 문학동네, 2012.
13.『아첨의 영웅주의』, 소명출판, 2011.
14.『문학의 윤리』, 문학동네, 2005.
15.『사랑의 문법』, 민음사, 2004.
■학술활동:
1. “근대문학, 인물과 서사”, 한국현대소설학회 전국학술대회 발표 (2019)
2. “근대문학의 함정: 김윤식의 글쓰기에 관하여”, 구보학회 2019년 정기학술대회(2019)
3. “민족주의의 윤리, 최남선의 역설”, 국제심포지움: 육당을 읽다, 생각하다 발표(2018)
4. “한글세대 이청준의 미션”, 문학실험실 포럼 발표(2018) 외
■연구과제:
1. 공동연구, 고전 매트릭스를 활용한 중등교육 모델 개발, 교육부 인문사회기초연구사업(2019)
2. 공간, 장소, 서사의 에토스, 교육부 인문학진흥사업(2013~2016)
3. 무한공간의 출현과 근대의 서사, 서울대학교 교내연구과제(신임교수연구정착금지원)(2013)
Courses
아시아문명론입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