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TOP

 

교수진

구하원 교수, 인도언어문명전공주임

Ku, Hawon

전공인도
주소연구실 :5동 422호
연락처전화 : 02-880-8620
이메일hawonku@snu.ac.kr

직급 : 교수, 인도언어문명전공주임
연구실 :5동 422호
전화 : 02-880-8620
이메일 : hawonku@snu.ac.kr

Education

Ph.D. University of Minnesota

Statement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하고 University of Minnesota에서 인도 근현대 미술사와 이슬람 미술사를 공부하였다. 19세기 자이나교 성지의 역사서술과 건축, 회화를 통해 나타나는 근대적 종교 정체성에 대한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1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어과 교수로 있었으며, 2015년 아시아언어문명학부 교수로 임용되었다. 인도 근현대사에 나타나는 예술과 문화, 교육제도 등을 통하여 식민 통치의 역사를 지닌 이들이 근대성과 종교, 민족주의를 자기화하는 과정을 이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Publications

■논저:
1. 3인 공저, 『인도인의 역사인식과 신남방정책』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20)
2. 공저,「18세기 캘커타: 여성의 거실, 지배자의 공간」,『18세기의 방』(문학동네, 2020)
3. “Transferring a Tīrtha: From Śatruñjaya to the Replicas at Kadambagiri”, Jaina Studies: Newsletter of the Centre of Jaina Studies Issue 14 (2019)
4. 「새로운 사료와 시각을 도입한 심층 연구의 확산: 2014~2017 인도사 연구동향」, 『歷史學報』(2018)
5.「인도의 역사교과서 논쟁과 시기별 역사교과서에 나타나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대한 서술」, 『인도연구』 23권 1호 (2018)
6. 「근대성의 건축: 식민 치하 인도 칼리지와 대학교 건축의 고찰」, 『인도연구』 21권 1호 (2016)
7. 「식민치하 인도 ‘종교’대학의 의의와 한계: 알리가르 무슬림 대학교와 바나라스 힌두 대학교를 중심으로」, 『인문논총』 73권 1호 (2016)
8. 강희정, 조인수 공저. 『클릭 아시아 미술』 (예경, 2015).
9.「아가한 건축상과 남아시아 현대 이슬람 건축의 이해」, 『한국이슬람학회논총』 제25권 1호 (2015)
10. “Colonial, Modern, or Traditional? How to Read the Indo-Saracenic Architecture of South and South-East Asia”, In The Mekong-Ganga Axis, eds. Pankaj Mittal, Ravi Bhushan, Daisy Nehra (Kurukshetra: Bhagat Phool Mahila Vishwavidyalaya, 2015)
11. “Representations of Ownership: The Nineteenth-Century Painted Maps of Shatrunjaya, Gujarat.” South Asia: Journal of South Asian Studies vol. 37 no.1 (2014): 3-21.
12.「윌리엄 존스(William Jones)와『마누법전(Mānava Dharmaśāstra)』의 번역」,『인도연구』 제18권 2호 (2013): 1-34)
13. 스튜어트 고든 저, 구하원 역, 『아시아가 세계였을 때』(까치 2010)

■ 학술활동:
1. “Her Lady’s Room: Portrait of a Lady within Patriarchal/Colonial Space”, American Council for Southern Asian Art Symposium XIX, Edinburgh 발표(2019)
2. “Travels to a Foreign Land: Women Abroad in English Vinglish (2012) and Queen (2014)”, Asian Universities Alliance Academic Conference: Communication of Mass Culture between China and Other Asian Countries in the 21st Century, Beijing University발표 (2019)
3. “Female Patronage of the Modern Jain Temple: Hutheesing Temple and Ujambai Tunk”, Indian Temple Architecture and Modernity, London 발표(2018)
4. “Jones’ Translation of the Mānava Dharmaśāstra and the Modern Concept of Peace”, 3rd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eace and Reconciliation: Perspectives from Religion and Philosophy, Chennai 발표(2018)
5. “The Female Patron: Gender and Architectural Style in 19th-century Jain Temples”, Department of Religious Studies and the Lex Hixon Fund Special Lecture at Yale University 발표(2018)
6. “Transferring a Tirtha: From Śatruñjaya to Kadambgīrī”, Centre for Jaina Studies SOAS 발표(2018)
7. “World Heritage as Educational Material: Ajanta, Ellora, and the Taj Mahal in NCERT Textbooks”, American Council for Southern Asian Arts Symposium XVIII, Los Angeles (2017) 외

■연구과제:
1. 인도인의 역사인식과 신남방정책,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9)
2. 공동연구원, 인도의 대전환과 인도학의 한국적 재해석- 인도 지역연구의 세계적 거점 구축, 한국연구재단 HK+(2017~현재)
3. 대학 내 여성 교원의 리더십 역량 강화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교내지원사업(2017)
4. 신화에서 시네마로: 인도영화의 이해, 서울대학교 교내연구과제(신임교수연구정착금지원)(2015)

Courses

아시아근대문명연구(대학원)
이슬람 세계 예술의 이해
인도사 1
아시아연구지도
아시아문명교류사
아시아문명연구의 시각
인도의 신화와 예술
인도문명의 이해
인도 근현대 문화와 예술
근세 인도의 문화와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