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목표

남아시아 전문연구자의 양성

인도 문화의 다면성과 다층성을 심도 있게 이해하는 각 학문분야의 전문연구자를 양성한다.

남아시아 지역전문가의 양성

아시아 시대를 맞이하여 사회 각 분야에서 남아시아에 대한 포괄적이면서도 심층적인 지식과 시야를 갖추고 한국과 남아시아를 연결시켜 줄 수 있는 전문가를 육성한다.

남아시아에 대한 이해 확산

사회 각계에서 남아시아에 대해 정확하고 균형 잡힌 정보가 유통될 수 있도록 대학 전체 차원에서도 학생들의 교육에 힘쓴다.

언어 구사 능력 연마

학부생들이 남아시아문화권의 문화를 폭과 깊이를 아우르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높은 수준의 언어 구사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한다.

고전과 현대의 조화

고전전통의 남아시아와 근대 이후 자리잡은 현대 남아시아를 균형 있게 바라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고전과 현대에 대한 정보와 지식이 조화를 이룬 교육을 지향한다.

교육내용

고전,근세,근현대 분야 학습

인도전공은 크게 고전과 근세,근현대 분야로 나누어 교육한다.고전전통의 남아시아 연구에서는 고전문화의 특색으로서 제시되는 다양한 종교와 철학 문헌에 나타난 인간과 세계의 본질에 대한 탐구를 학습한다. 나아가 남아시아 문화의 황금기인 고대와 중세에 발전한 서사시와 희곡, 종교문헌 등을 통해 문학과 종교 등 여러 측면을 학습한다. 아울러 남아시아의 고전전통이 동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 동아시아에 끼친 문화적, 사상적 영향을 탐구한다.근세에는 이슬람의 전래 이후 남아시아 문명에 일어난 변화상과 그것이 근대로 이어지는 과정을 학습한다.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및 유럽과의 관계도 주요한 학습 내용이 될 것이다.근현대에서는 영국의 식민지시대와 독립, 현대에 이르기까지 현대 남아시아를 형성해 온 문화의 다양한 측면과 역사적 경험을 학습한다. 현대 인도가 당면하고 있는 여러 문제에 대한 기초적 이해도 도모한다.

언어 훈련

인도전공에서 제공하는 힌디어와 산스크리트어 가운데 최소 4학기의 언어 교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4개 과목은 모두 힌디어나 산스크리트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힌디어와 산스크리트어를 섞어서 구성할 수도 있다.현대 인도어 가운데 힌디어 이외에 벵골어와 타밀어도 이수할 수 있도록 언어 과목을 확대한다.힌디어나 산스크리트어 과목을 l년 이상 수학한 전공 학생들에게 고급단계의 언어훈련을 위해 인도를 위시한 세계 각지에서 개설되는 어학 코스에 참여하여 언어 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