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lish

열린광장

학부행사
학부행사

12.6 (Fri) 14:00-17:00, 동남아시아 세미나 시리즈 Southeast Asia Seminar Series (4th seminar)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   작성일13-11-21 20:38   |   조회2,976회

본문

4th Southeast Asia Seminar  (Mission Statement)

 

 

Date/일시:         6 December 2013 / 2013년 12월 6일

Time/시간:        14:00-17:00  / 오후 2시 - 5시

Venue/장소:      Building no.101, (Asia Center), Room 210

                         아시아연구소(101동) 210호

                         (SNU Campus Map/서울대 학교 지도)

                         (Please note the new venue/기존 안내와 달리 장소가 바뀌었으니, 주의바랍니다.)

                                 

                                  Lecture in English (Simultaneous Translation to Korean)

                                  영어로 강의 진행(한국어 동시통역 제공됨)

 

Speaker/강연자: Prof. KELVIN LOW

                          (Department of Sociology,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싱가포르국립대, 사회학과)

Title/강연제목:   Global Warriors: Tracing Migratory Paths of Gurkhas in Southeast Asia and Beyond 

 

Speaker/강연자: Prof. LIAZZAT BONATE

                          (Department of Western History, Seoul National University/서울대 서양사학과)

Title/강연제목:   Matrilineal Systems and Islam in the Indian Ocean Rim

                          (East Africa, South Asia, and Southeast Asia) 

 

 

Abstracts  



Global Warriors: Tracing Migratory Paths of Gurkhas in Southeast Asia and Beyond

-by Professor Kelvin Low


The Nepalese Gurkhas have often been regarded as brave fighters in the scheme of British recruitment and overseas posting since the 1800s. Although Nepal was never a part of the English colonial empire, the British wielded informal influence over the country, and started recruiting regiments of these Nepalese soldiers as a martial race since the Anglo-Nepalese War of 1814-1816. In the contemporary context, descendants of these Gurkha soldiers have settled in various parts of Southeast and South Asia such as Myanmar and India. It is therefore important to consider them as migrants who traverse different pathways from Nepal to the UK, or Singapore, as well as their second-career moves that bring them to other countries of work or settlement including Hong Kong, Malaysia, and Brunei.  In this paper, I query the various migratory cycles that Gurkhas or ex-Gurkhas undertake, by interrogating the different notions of return- and step-migration of Gurkhas and their families vis-a-vis Yamanaka’s (2000) idea of the ‘culture of emigration’. In doing so, I trace their different phases of migration and show how their migratory paths may be critically examined in relation to the historical, political and cultural contexts of Nepal as well as the receiving countries. Is there a Gurkha diaspora to speak of, and what are their senses of belonging that may be mediated through these varied migratory routes in the context of Southeast Asia? Comparatively, what are the connections to Nepal as their homeland, and how would this differ when we examine such links between Nepal and overseas Gurkha/Nepalese communities within and beyond Southeast Asia? 

 

네팔인 Gurkhas는 종종 1800년대 이래로 진행된 영국의 신병 보충과 해외 진출의 계획 속에서 종종 용감한 전사로 간주되었다. 네팔이 결코 영국식민 제국의 일부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영국은 네팔에 대해 비공식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했고, 영국-네팔전쟁(1814-1816) 이후 네팔 군인들을 전투종족(martial race)으로 모집하기 시작했다. 동시대적 맥락에서 Grukha군인의 후예들은 미얀마와 인도와 같은 동남아시아, 남아시아의 여러 지역에 정착했다. 그러므로 그들을 네팔에서부터 영국 혹은 싱가포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루트를 통해 여행하였을 뿐 아니라 홍콩, 말레이시아, 브루나이를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직업을 찾거나 거주하면서 2번째 경력을 갖게 된 이민자로서 인식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나는Yamanaka(2000)의 ‘이민의 문화’ 에 대해 Gurkhas와 그 가족들의 단계적 이주와 재이주에 관한 상이한 관념들을 검토함으로써 Gurkhas및 이전의 Gurkhas가 택했던 다양한 이주의 사이클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이를 통해 나는 그들의 이주에 대한 각각의 단계를 추적하고, 이주 경로를 네팔 뿐 아니라 이주 상대국의 역사적, 정치적, 문화적 맥락에서 어떻게 비판적으로 접근해야 할지 보여줄 것이다. ‘Gurkha의 디아스포라’라 말할 수 있는가? 동남아시아라는 맥락 속에서 다양한 이주경로에 나타난 그들의 소속감은 어떻게 파악할 수 있는가? 상대적으로 무엇이 그들과 조국 네팔의 연결고리로서 작용하였는가, 그리고 우리가 동남아시아 내외에서 네팔과 재외 Gurkha/네팔 커뮤니티 간 연계를 검토할 때, 이 연결고리는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가?


Matrilineal Systems and Islam in the Indian Ocean Rim (East Africa, South Asia, and Southeast Asia)

-by Professor Liazzat Bonate 

  

Matriliny and Islam have co-existed in various places along the Indian Ocean rim, such as in Kerala and southern Malabar in India, Minankabau at Sumatra Island in Indonesia, and also, in Malaysia and Philippines, and along the matrilineal belt of sub-Saharan Africa, including Mozambique. Although each of these examples represents a particular historical or cultural case, I would like to address the question of the concomitant existence of Islam and matriliny from a broad comparative-theoretical perspectives and contribute to the current international scholarly debates by focusing on questions like:  why matriliny, as a kinship system, a politico-economic ideology, and a marriage, succession and inheritance strategy has survived so far despite the spread of Islam, of modernity and capitalist economy that give priority and favours to a certain extent, to patriliny and patriarchy? Why Islam could not alter this status quo? If there are some transformations and changes taking place with regard matriliny, what had contributed to these, why and to what degree? In which ways are the Southeast Asian cases different from or similar to those in northern Mozambique and the Malabar Coast? And, finally how gender relations are played out in a society where matrilineal and Islamic patrilineal ideologies exist concurrently? How women’s situation is defined from the long-term historical and traditional-discursive perspectives, and in which ways it has been altered (or not) during the twentieth century? Do women in fact have more power in a matrilineal society or that is just an unwarranted assumption? How the social understanding of the precepts of matriliny and tenets of Islam, influence the situation and position of women?

 

모계제와 이슬람은 Kerala와 인도의 남부 Malabar, 인도네시아의 수마트라 섬의 Minankabau와 같은, 또한 말레이시아와 필리핀에서, 그리고 모잠비크를 포함하는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의 모계제 지역(belt)를 따라 인도양 주변의 다양한 지역에서 공존해왔다비록 여기서 든 예가 각각 특유의 역사적, 문화적 사례를 대변함에도 불구하고, 나는 광범위한 비교이론적 시각을 통해 이슬람과 모계제의 부수적 존재의 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고, 다음과 같은 의문들에 집중해서 현재 국제학계의 논쟁에 기여하고자 한다왜 가부장제와 부계제도에 어느 정도의 우선권과 호의를 베푸는 자본주의 경제, 이슬람, 현대성의 형성에도 불구하고, 종족체계, 정치경제적 이데올로기, 결혼, 계승상속 전략으로써 모계제가 지금까지 살아남았는가? 왜 이슬람은 이러한 현재상태를 바꿀 수 없는가? 모계제와 관련해 발생하는 변화와 변혁이 약간이라도 존재한다면 왜 그러하였고 어느 정도로 기여하는가? 동남아시아의 어떤 사례가 북 모잠비크와 Malabar 해안에서의 사례와 유사하거나 혹은 다른가? 그리고 마지막으로 성별 관계가 모계제와 이슬람의 부계제 이데올로기가 공존하는 사회에서 어떻게 역할을 했는가? 여성의 위치가 장기간의 역사와 전통적 담론의 시각에서 어떻게 정의되었는가? 그리고 20세기동안 어떤 방식으로 변화하였거나 혹은 변화하지 않았는가? 실제, 여성들이 모계제에서 더욱 힘을 가지는가? 아니면 이것은 그저 확인되지 않은 추정에 불과한가? 이슬람 교리과 모계제의 가르침에 대한 사회적 이해가 여성의 지위와 상황에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가?

 

 

About the Speakers  

 

1385267787.jpg



Professor Kelvin Low


 

Kelvin E.Y. Low is Assistant Professor of Sociology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His main areas of research include migration and social memory, and sociocultural analyses of senses and society. He is author of Remembering the Samsui Women: Migration and Social Memory in Singapore and China (UBC Press, forthcoming 2014), Scents and Scent-sibilities: Smell and Everyday Life Experiences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09), and co-editor of Everyday Life in Asia: Social Perspectives on the Senses (Ashgate, 2010). He is presently working on a project which analyses the historical and contemporary migratory experiences of the Nepalese Gurkhas in the UK, Nepal, and Singapore.

 

Kelvin E.Y. Low는 싱가포르 국립대학(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의 사회학 조교수이다. 그의 주요 연구 분야는 이민, 사회적 기억, 관념과 사회에 대한 사회문화적 분석이다. 그는 Remembering the Samsui Women: Migration and Social Memory in Singapore and China (UBC Press, forthcoming 2014), Scents and Scent-sibilities: Smell and Everyday Life Experiences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09)의 저자이고, Everyday Life in Asia: Social Perspectives on the Senses (Ashgate, 2010)의 공동 편자이다. 그는 현재 영국, 네팔 그리고 싱가포르에 있는 네팔인 구르카들의 이민 경험을 역사적인 관점과 동시대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프로젝트에 참가하고 있다. 




 

1385267826.jpg



Professor Liazzat Bonate


Liazzat J.K. Bonate works on the history of Africa, with particular interest in Islam. She has done extensive research in Mozambiqu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slam and the Portuguese colonialism; Mozambican Muslims and the wider Indian Ocean world; on the participation of Muslims in liberation movements; Islamic education; the use of Arabic script among Muslims for African languages; the relationship between African culture, chieftaincy, matriliny, gender and Islam; and on the transnational Islam and public sphere in the post-colonial period. She also contributed to a research coordinated by the Emory University School of Law on Muslim family law in the former Soviet Republics of Central Asia and the northern Caucasus. Besides her academic work, Professor Bonate served as a short-term consultant to UNICEF, OXFAM-America, Care-USA and other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on the issues pertaining Islamic culture and education, gender, land rights, family law and the prevention of HIV/AIDS. At the moment Professor  Bonate is developing a comparative theoretical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riliny and Islam.

 

Liazzat J.K. Bonate는 이슬람에 대한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아프리카의 역사를 연구한다. 그녀는 모잠비크에서 이슬람과 포르투갈 식민주의 간의 관계, 모잠비크 무슬림과 광역 인도양 세계, 해방운동에 대한 무슬림의 참여, 이슬람 교육, 무슬림 사이에서 이루어진 아프리카 언어에 대한 아랍 문자 사용, 아프리카 문화•추장통치•모계제•젠더 그리고 이슬람 사이의 관련성, 그리고 식민시대 이후 초국가적 이슬람과 공적 영역에 대해서 폭넓은 연구를 수행했다. 그녀는 또한 에모리대학 로스쿨(Emory University School of Law)이 주도한 중앙아시아와 북부 코카서스의 옛 소련 공화국이었던 지역에서 이슬람 가족법에 관한 연구 프로젝트에 참가했다. 연구 업적 외에도 Bonate 교수는 UNICEF, OXFAM-America, Care-USA 그 밖의 NGO에서 이슬람의 문화, 교육, 젠더, 토지 소유권, 가족법, 에이즈 방지 등의 이슈들에 대한 단기 컨설턴트로 봉사했다. 현재 Bonate 교수는 모계제와 이슬람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비교 이론적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Education

Ph.D., Historical Studies, University of Cape Town, 2007.

M.A., African History, Northwestern University, 2002.
M.A., Islamic Societies and Cultures,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1998.
B.A., M.A., World History, Al-Farabi (former Kirov) Kazakhstan National University, 1990.

 

Professional Experience
Appointed at SNU, 2011.
Post-Doctoral Fellow, Centre for Contemporary Islam, University of Cape Town, South Africa, 2009-2010.
Assistant Professor, Center of African Studies, Eduardo Mondlane University, Mozambique, 2007-2011.
Visiting Scholar, Centro de Estudos Sociais (CES), University of Coimbra, Portugal, 2006
Visiting Scholar, UNIFOB Global Research Centre, University of Bergen, Norway, 2008  
Visiting Scholar, ZMO (Centre for Modern Orient), Berlin, Germany, November, 2008
Lecturer in History, History Department, Eduardo Mondlane University, Mozambique, 1993-2007.
 

 

Please forward any queries or RSVP to Ms LEE Kyoung Won via e-mail: alc@s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