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lish

열린광장

학부행사
학부행사

11.20(Wed) 15:30-17:00, 동남아시아 세미나 시리즈 Southeast Asia Seminar Series(3rd lecture)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   작성일13-10-22 18:09   |   조회3,344회

본문

Southeast Asia Seminar Series  

 

Speaker: Prof. Loh Kah Seng (Institute for East Asian Studies, Sogang University)

Title: Emergencities, Experts and Planning Postcolonial Southeast Asia

Date: 20 November 2013

Time: 15:30-17:00

Venue: Building no.8, (Doosan Humanities Building), Room 605



Abstract

 

Emergencities, Experts and Planning Postcolonial Southeast Asia

 

For two decades after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Southeast Asian cities (as well as those in the rest of Asia, Africa and Latin America) became an important focal point of a transnational network of Anglo-American planning experts and a discourse of urban crisis, which characterised them as ‘emergencities’. In this period of decolonisation, rapid population growth and accelerated urbanisation, planners like Patrick Abercrombie, George Pepler, Morris Juppenlatz, and Charles Abrams, among others, attempted to facilitate the region’s transition to the postcolonial era in the modern (that is, Western) image. Bolstered by extensive planning experience in the West and in other colonies, which seemingly demonstrated that slums could be unmade, the experts urged the comprehensive, planned development of modern Southeast Asian cities. They framed unplanned urban growth – expressed in the proliferation of slums and squatter settlements after the war – as a danger to the individual, the city and the nation-state. Their discourse about Southeast Asian cities merged older colonial anxieties over insanitary physical environments and unruly Asians with new fears of overpopulation, uncontrolled migration, bad urbanisation, and the spread of an insidious communism. Where one lived, then, was no longer one’s choice to decide, but a matter that required robust, urgent intervention not only by municipal officials but also by the state itself. The proposed solution of the experts was characteristically positivist and high modernist: that slums and squatter settlements could, and should, be replaced by organised neighbourhoods, estates and new towns of concrete housing within a comprehensive, scientific system of master planning. This approach to physical planning, it was thought, would create stable democracies, dynamic economies and – and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human nature’ – model industrial citizenries in postcolonial Southeast Asia. Yet, throughout the region, these planning ideas and policies were appropriated, transformed or even manipulated by indigenous elites to serve narrow political interests; they often became ‘paper plans’ or emerged as ‘prestige projects’. Socially, they were keenly contested by local communities, who possessed apart-autonomous, part-connected relationship with the state and the formal economy, and for whom living in slums and squatter areas was frequently preferred as a practical way of life; many slum dwellers and squatters thus resisted being evicted or resettled in planned housing. There was social resistance even in Singapore, where the efforts of the postcolonial government were ultimately successful, and where the city-state’s public housing estates and new towns came closest to the model of a master planned modern city. <[p>

 

 

제목: 위기의 도시, 전문가, 그리고 탈식민지 시대의 동남아시아 계획

 

제2차 세계대전 종결 후 20년간 동남아시아의 도시들은 – 다른 아시아 지역, 아프리카, 그리고 남미의 도시들과 마찬가지로 – 영∙미권의 초국경적 기획전문가 집단의, 그리고 “위기의 도시” 개념을 발전시킨 도시 담론의 중요한 관심주제로서의 역할을 해왔다. 이 시기는 탈식민지, 인구의 급속한 증가 및 급속한 도시화가 진행되었던 시대로서, 패트릭 에이버크롬비, 조지 페플러, 모리스 쥬펜라츠, 찰스 아브람스와 같은 도시 계획가들은 근대적(서양적) 이미지를 통한 해당지역의 탈식민지화를 촉진시키고자 노력하였다. 이러한 전문가들은 서방세계와 식민지 지역에서의 왕성한 도시 계획 경험, 즉 빈민가는 퇴치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실어준 경험에 힘입어 근대동남아시아도시들의 종합계획개발을 독려하였다. 이들 도시전문가들은 전쟁이후 빈민가 및 빈민촌의 확산으로 특징지어진 도시의 무계획적 발전이 개인적, 도시적, 그리고 국가적 차원의 위험요소로 작용한다고 주장하였다. 동남아시아 도시들에 관한 그들의 담론은 환경의 물리적 오염과 미개한 아시아인들에 대한 인식과 같은 식민지 시기의 우려사항과 인구과잉, 이주의 未통제, 비효율적 도시화 및 고도의 침입성이 있는 공산주의의 확산과 같은 새로운 우려사항들을 포괄하는 것이었다. 개인의 주거 공간은 더 이상 개인의 자유의지에 의한 것이 아니라 지역 의원과 국가 자체의 공고하고 긴박한 개입을 요구로 하는 것이었다. 이들 전문가들이 제안한 해결방안은 전형적인 선험적∙근대주의적 접근방식이었다. 즉 빈민가 혹은 빈민촌은 종합적∙과학적 계획체제에 의하여 계획된 동네, 주거단지 및 콩크리트 건물들이 들어선 마을로 변화될 수 있으며, 변화되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이러한 물리적 계획방안은 안정된 민주주의, 활발한 경제 및 인간본성의 내적 개조를 통한 탈식민지 시대 동남아시아의 모범적 산업사회 시민 생산에 기여할 것으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계획안 및 정책들은 여러 지역에서 엘리트 개인들의 정치적 이익을 충당하기 위해 책정, 변화 및 남용되었다. 소위 “문서상의 계획” 혹은 “엘리트 사업”으로 전락하게 된다. 사회적으로 이러한 현상들은 지방자치단체와 충돌하였다. 이러한 단체들은 準자치권을 행사하였고, 국가 및 중앙경제와도 부분적 연관성이 있었으며, 많은 경우 일상생활에 있어 빈민가 혹은 빈민촌을 선호하였다. 빈민가 혹은 빈민촌의 거주민 중 많은 이들은 기획된 주택공간으로의 강제추방∙이주에 반대하였다. 탈식민지 정부의 노력이 성공한, 근대도시 계획의 모범사례에 가장 근접한 도시국가의 기획주택공간 및 단지를 보유한 싱가포르에서 또한 사회적 저항현상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About the Speaker

 

1384162827.jpg

 

Prof. Loh Kah Seng



Loh Kah Seng is assistant professor at the Institute for East Asian Studies, Sogang University. He works on little-studied subjects in the history of modern Southeast Asia. His present research investigates the transnational and social history of the making of modern Southeast Asia after World War Two. Loh is author of five books, Squatters into Citizens: The 1961 Bukit Ho Swee Fire and the Making of Modern Singapore (NUS Press & ASAA 2013); Oral History in Southeast Asia: Memories and Fragments (co-edited, Palgrave Macmillan 2013); Controversial History Education in Asian Contexts (co-edited, Routledge 2013); The University Socialist Club and the Contest for Malaya: Tangled Strands of Modernity (co-authored, Amsterdam University Press & NUS Press 2012); The Makers and Keepers of Singapore History (co-edited, Ethos Books & Singapore Heritage Society 2010); and Making and Unmaking the Asylum: Leprosy and Modernity in Singapore and Malaysia (SIRD 2009). He was previously a school teacher and continues to speak to students and teachers about the joys and challenges of studying the past.

 

 

Loh Kah Seng 교수 약력

 

Loh Kah Seng 선생님은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교수로서 그다지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근대 동남아시아 역사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현재 Loh 선생님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근대 동남아시아 건설에 관한 초국경적, 초사회적 역사 연구를 진행중입니다. Loh 교수는 다음과 같이 5권의 책을 집필하였습니다: 근대 싱가폴 건국의 역사서 Squatters into Citizens: The 1961 Bukit Ho Swee Fire and the Making of Modern Singapore (NUS Press & ASAA 2013); 동남아시아 구두역사서 Oral History in Southeast Asia: Memories and Fragments (공동편집, Palgrave Macmillan 2013); 아시아의 역사교육 논쟁에 관한 공동편집지 Controversial History Education in Asian Contexts (Routledge 2013); 학생들의 관점에서 바라본 싱가폴의 정치역사서 The University Socialist Club and the Contest for Malaya: Tangled Strands of Modernity (공동편집, Amsterdam University Press & NUS Press 2012); 싱가폴 역사의 창시자와 유지세력에 관한 The Makers and Keepers of Singapore History (공동편집, Ethos Books & Singapore Heritage Society 2010); 마지막으로 싱가폴과 말레이시아에서의 나병과 근대성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Making and Unmaking the Asylum: Leprosy and Modernity in Singapore and Malaysia (SIRD 2009)가 있습니다.

 

 

About the Seminar Series

 

아울러 본 강연은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아시아언어문명학부에서 Connections and Comparisons: Region and the World in the Framing of Southeast Asia 라는 주제로 기획된 강연시리즈의 일부입니다. 2013년의 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This seminar is part of the Southeast Asia Seminar Series entitled "Connections and Comparisons: Region and the World in the Framing of Southeast Asia". Below is the full schedule for 2013.

 

1385265961.jpg

 

Please forward any queries or RSVP via e-mail: alc@snu.ac.kr